본문 바로가기

딥러닝/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

5장 : 오차역전파법

수치 미분을 사용해 가중치 매개변수에 대한 손실 함수의 기울기를 구하는 방법은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

-> 오차역전파법 :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

5.1 계산 그래프

5.1.1 계산 그래프로 풀다

문제 : 슈퍼에서 사과 2개, 귤을 3개 구매. 사과는 1개에 100원, 귤은 1개 150원. 소비세가 10%일 때 지불 금액 구하기

문제 풀이:

  • 계산 그래프를 구성한다.
  • 그래프에서 계산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한다.  : 순전파

 

5.1.2 국소적 계산 

  • 계산 그래프의 특징: 국소적 계산을 전파함으로써 최종 결과를 얻음
  • 전체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든 상관없이 자신과 관계된 정보만으로 결과 출력 가능

 

5.1.3 왜 계산 그래프로 푸는가?

  • 국소적 계산 가능
  • 중간 계산 결과 모두 보관 가능
  • 역전파를 통해 미분을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 (가장 큰 이유)

5.2 연쇄법칙

역전파 : 순전파와 반대로 국소적인 미분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전달 

원리 : 연쇄법칙(chain rule)

5.2.1 계산 그래프의 역전파

예시로  y  =  f(x)의 역전파

  • 신호 E에 노드의 국소적 미분(*E)을 곱한 후 다음 노드로 전달
  • 국소적 미분 : 입력 x에 대한 y의 미분 
  • 목표로 하는 미분 값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음

 

5.2.2 연쇄법칙이란?

: 합성 함수의 미분은 합성 함수를 구성하는 각 함수의 미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.

 

예) z = t**2

     t = x+y


5.3 역전파

5.3.1 덧셈 노드의 역전파

x + y = z 일 경우 z에 대한 x와 y의 미분 값은 모두 1          ->  덧셈 노드의 역전파 : 입력된 값을 그대로 다음 노드로 보냄 

 

 

5.3.2 곱셈 노드의 역전파

xy = z 일 경우 x와 y에 대한 z의 미분 값은 각각 y와 x        -> 곱셈 노드의 역전파 :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상류의 값에 순전파 때의 입력 신호들을 서로 바꾼 값을 곱해서 하류로 보냄

 

예)

  • 순방향 입력 신호의 값이 필요 -> 순전파의 입력 신호를 변수에 저장

 

5.3.3 사과 쇼핑의 예

  • 사과 가격에 대한 지불 금액의 미분 : 2.2
  • 사과 개수에 대한 지불 금액의 미분 : 110
  • 소비세에 대한 지불 금액의 미분 : 200

 

5.4 단순한 계층 구현하기

5.4.1 곱셈 계층

#곱셈 계층
class MulLayer:
    def __init__(self):
        self.x = None
        self.y = None

    def forward(self, x, y):
        self.x = x
        self.y = y
        out = x*y

        return out

    def backward(self, dout):
        dx = dout*self.y  #상류에서 넘어온 미분(dout)에 순전파 때의 값을 서로 바꿔 곱함
        dy = dout*self.x

        return dx, dy
#사과 쇼핑 예 적용
apple = 100
apple_num = 2
tax = 1.1

#계층들
mul_apple_layer = MulLayer()
mul_tax_layer = MulLayer()

#순전파
apple_price = mul_apple_layer.forward(apple, apple_num)
price = mul_tax_layer.forward(apple_price, tax)

print(price)

#역전파
dprice = 1
dapple_price, dtax = mul_tax_layer.backward(dprice)
dapple, dapple_num = mul_apple_layer.backward(dapple_price)

print(dapple, dapple_num, dtax)

220.00000000000003

2.2, 110.00000000000001, 200

 

 

5.4.2 덧셈 계층

#덧셈 계층
class AddLayer:
    def __init__(self):
        pass  #초기화 필요 x

    def forward(self, x, y):
        out = x+y
        return out

    def backward(self, dout):
        dx = dout*1
        dy = dout*1
        return dx, dy
#사과와 귤 쇼핑 예 적용
apple = 100
apple_num = 2
orange = 150
orange_num = 3
tax = 1.1

#계층들
mul_apple_layer = MulLayer()
mul_tax_layer = MulLayer()
mul_orange_layer = MulLayer()
add_apple_orange_layer = AddLayer()

#순전파
apple_price = mul_apple_layer.forward(apple, apple_num)
orange_price = mul_orange_layer.forward(orange, orange_num)
all_price = add_apple_orange_layer.forward(apple_price, orange_price)
price = mul_tax_layer.forward(all_price, tax)
print(price)

#역전파
dprice = 1
dall_price, dtax = mul_tax_layer.backward(dprice)
dapple_price, dorange_price = add_apple_orange_layer.backward(dall_price)
dorange, dorange_num = mul_orange_layer.backward(dorange_price)
dapple, dapple_num = mul_apple_layer.backward(dapple_price)

print(dapple, dapple_num, dorange, dorange_num, dtax)

715.0000000000001

2.2, 110.00000000000001, 3.3000000000000003, 165.0, 650


5.5 활성화 함수 계층 구현하기

5.5.1 ReLU 계층

  • 순전파 때 x가 0 이하면 역전파 때는 하류로 신호를 보내지 않음 (0)
#relu 계층
class Relu:
    def __init__(self):
        self.mask = None
    
    def forward(self, x):
        self.mask = (x<=0)
        out = x.copy()
        out[self.mask] = 0

    def backward(self, dout):
        dout[self.mask] = 0
        dx = dout

        return dx

 

5.5.2 Sigmoid 계층

-> 역전파의 흐름

1단계 :

'/'노드, 즉 y = 1/x (x: 1+exp(-x)) 을 미분

  • 상류에서 흘러온 값에 순전파의 출력(y)을 제곱한 후 마이너스를 붙인 값을 곱해서 하류로 전달

 

2단계 :

+노드, 여과 없이 하류로 내보냄

 

3단계 :

exp 노드,  y = exp(x) 연산을 수행

  • 상류의 값에 순전파 때의 출력을 곱함

 

4단계 :

x노드, 순전파 때의 값을 서로 바꿔 곱함

=> 순전파의 입력 x와 출력 y만으로 계산 가능 => 단순한 sigmoid 노드 하나로 대체

간소화 버전

  • 중간 계산을 생략해 더 효율적인 계산 
  • 노드를 그룹화하여 입력과 출력에만 집중하게 할 수 있음
  • 또한 다음처럼 정리해서 쓸 수 있음
    •  

-> 시그모이드 계층의 역전파는 순전파의 출력(y)만으로 계산할 수 있음

#sigmoid 계층
class Sigmoid:
    def __init__(self):
        self.out = None

    def forward(self, x):
        out = 1/(1+np.exp(-x))
        self.out = out

    def backward(self, dout):
        dx = dout * (1.0-self.out)*self.out

        return dx

5.6 Affine/Softmax 계층 구현하기

5.6.1 Affine 계층

  • 어파인 변환(affine transformation)은 신경망 순전파 때 수행하는 행렬의 곱을 기하학에서 부르는 이름
  •  어파인 변환을 수행하는 처리를 'Affine'계층 이라는 이름으로 구현

  • 행렬 곱('dot' 노드)의 역전파: 행렬의 대응하는 차원의 원소 수가 일치하도록 곱을 조립해야 함.
    -> W와 X를 전치(T)
  • 편향 주의 : 역전파 때는 각 데이터의 역전파 값이 편향의 원소에 모여야함
class Affine:
    def __init__(self, W, b):
        self.W = W
        self.b = b
        self.x = None
        self.dW = None
        self.db = None

    def forward(self, x):
        self.x = x
        out = np.dot(x,self.W) +self.b

        return out

    def backward(self, dout):
        dx = np.dot(dout, self.W.T)  #dout*다른입력값W의 전치행렬 (대응하는 차원의 원소 수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전치)
        self.dW = np.dot(self.x.T, dout)
        self.db = np.sum(dout, axis=0)  #각 데이터에 대한 미분을 데이터마다 더해서 구해야 함, 데이터 단위의 0번째 축에 대한 총합 

        return dx

 

5.6.3 Softmax-with-Loss 계층

역전파의 결과 : Softmax 계층의 출력과 정답 레이블의 차분 (, 

  • 신경망의 역전파에서는 오차가 앞 계층에 전해지는 것
    -> 신경망 학습의 중요한 성질
  • 오차를 전달함으로써 신경망의 출력이 정답 레이블과 가까워지도록 가중치 매개변수의 값 조정
#softmaxwithloss
class SoftmaxWithLoss:
    def __init__(self):
        self.loss = None  #손실
        self.y = None  #softmax의 출력
        self.t = None  #정답 레이블(원-핫 벡터)

    def forward(self, x, t):
        self.t = t
        self.y = softmax(x)
        self.loss = cross_entropy_error(self.y, self.t)
        return self.loss

    def backward(self, dout=1):
        batch_size = self.t.shape[0]
        dx = (self.y -self.t) / batch_size

        return dx

5.7 오차역전파법 구현하기

5.7.2 오차역전파법을 적용한 신경망 구현하기

  • 계층을 사용함으로써 계층의 전파만으로 동작이 이루어짐 (predict(), gradient())
class TwoLayerNet:
    def __init__(self, input_size, hidden_size, output_size, weight_init_std=0.01):
        #가중치 초기화
        self.params = {}  #신경망의 매개변수 보관하는 딕셔너리 변수
        self.params['W1'] = weight_init_std * \
                            np.random.randn(input_size, hidden_size)  #정규분포를 따르는 난수로 초기화
        self.params['b1'] = np.zeros(hidden_size)  #0으로 초기화
        self.params['W2'] =  weight_init_std * \
                            np.random.randn(hidden_size, output_size)
        self.params['b2'] = np.zeros(output_size)

        #계층 생성
        self.layers = OrderedDict()  #순서가 있는 딕셔너리{Affine1, Relu1, Affine2}
        self.layers['Affine1'] = \
            Affine(self.params['W1'], self.params['b1'])
        self.layers['Relu1'] = Relu()
        self.layers['Affine2'] = \
            Affine(self.params['W2'], self.params['b2'])

        self.lastLayer = SoftmaxWithLoss()  #신경망의 마지막 계층

    def predict(self, x):  #예측 수행
        for layer in self.layers.values():  #{Affine1, Relu1, Affine2}순서대로 처리
            x = layer.forward()

        return x

    # x:입력 데이터, t: 정답 레이블
    def loss(self, x, t):  #손실 함수 값
        y = self.predict(x)

        return cross_entropy_error(y, t)

    def accuracy(self, x, t):  #정확도
        y = self.predict(x)
        y = np.argmax(y, axis=1)
        t = np.argmax(t, axis=1)

        accuracy = np.sum(y==t) / float(x.shape[0])
        return accuracy

    def numerical_gradient(self, x, t):  #수치미분방식으로 기울기 구하기
        loss_W = lambda W: self.loss(x,t)

        grads = {}  #기울기 보관하는 딕셔너리 변수
        grads['W1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W1'])
        grads['b1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b1'])
        grads['W2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W2'])
        grads['b2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b2'])

        return grads

    def gradient(self, x, t):  #오차역전파법으로 기울기 구하기
        #순전파
        self.loss(x, t)

        #역전파
        dout = 1
        dout = self.lastlayer.backward(dout)

        layers = list(self.layer.values())
        layers.reverse()  #{Affine1, Relu1, Affine2}역순으로
        for layer in layers:
            dout = layer.backward(dout)

        #결과 저장
        grads = {}
        grads['W1'] = self.layers['Affine1'].dW
        grads['b1'] = self.layers['Affine1'].db
        grads['W2'] = self.layers['Affine2'].dW
        grads['b2'] = self.layers['Affine2'].dW
        return grads

 

5.7.3 오차역전파법으로 구한 기울기 검증하기

  • MNIST 데이터셋 읽기
  • 훈련 데이터 일부를 수치 미분으로 구한 기우리과 오차역전파법으로 구한 기울기의 오차 확인
  • 오차 : 각 가중치 매개변수의 차이의 절댓값을 구하고, 이를 평균한 값
#기울기 검증
#데이터 읽기
(X_train, t_train), (X_test, t_test) = load_mnist(normalize=True, one_hot_label=True)

network = TwoLayerNet(input_size=784, hidden_size=50, output_size=10)

x_batch = X_train[:3]
t_batch = t_train[:3]

grad_numerical = network.numerical_gradient(x_batch, t_batch)
grad_backprop = network.gradient(x_batch, t_batch)

#각 가중치의 차이의 절댓값을 구한 후, 그 절댓값들의 평균
for key in grad_numerical.keys():
    diff = np.average(np.abs(grad_backprop[key] - grad_numerical[key]))
    print(key +":" +str(diff))

W1:1.9386396841126322e-10

b1:1.1386369347913964e-09

W2:6.790742339489453e-08

b2:1.361732661936399e-07

-> 매우 작은 값 (0이 되는 일은 드뭄) => 오차역전파법 기울기도 올바름

 

5.7.4 오차역전파법을 사용한 학습 구현

ch4와 동일


5.8 정리

  • 계산 그래프의 노드는 국소적 계산으로 구성. 국소적 계산을 조합해 전체 계산을 구성.
  • 계산 그래프의 순전파는 통상의 계산을 수행. 한편, 역전파로는 각 노드의 미분을 구할 수 있음.
  • 신경망의 구성 요소를 계층으로 구현하여 기울기를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음. (오차역전파법)
  • 수치 미분과 오차역전파법의 결과를 비교하면 오차역전파법의 구현에 잘못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(기울기 확인)

 

책 참고 :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(한빛미디어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딥러닝 >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7장 : 합성곱 신경망(CNN)  (0) 2023.09.17
6장 : 학습 관련 기술들  (0) 2023.09.15
4장 : 신경망 학습  (0) 2023.09.06
3장 : 신경망  (0) 2023.09.05
2장 : 퍼셉트론  (0) 2023.09.04